인도에선 불경이 나왔고,
이스라엘에선 성경이 나왔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민족 고유의 경전은 없을까요?
이 책에선 우리 민족 고유의 경전인 천부경(天符經)을 소개합니다.
81자의 짧은 글에 진리를 담은 경전이죠.
이정도면 후학들이 충분히 알아  들으리라 생각하고 남기셨겠지만,
저로썬 무슨 말인지 전혀 짐작조차 할 수 없습니다.
주재주(主宰主)-1, 천부인(天符印)-5, 천부원본(天符源本)-81...
그림까지 곁들여 가며 설명 되어 있지만 봐도 모르겠어요.^^;
봉우 권태훈 선생님과 노주 김영의 선생님의 주해가 들어있지만,
풀어놓은 해석을 보고도, 이해를 못하겠어요.
'도는 쪼개지고 뭉치고 움직이고 끊임없이 변화하지만, 결국 하나다.
진리는 단순하니, 어렵게 생각할 것 없다.' 라는 교훈은 얻었어요.
하지만 아직 저에겐 어렵기만 하니,
우선 천부경 부분은 접었습니다.
나중에 차근차근 봐야겠어요.
천부경 설명중에 재미있는 옛날 이야기도 종종 나옵니다.
한문(漢文)이 한(漢)나라의 글자가 아니고, 상형문자(象形文字)로서의 우리 글이 전해진 것이라고 합니다.
지금 쓰고 있는  이 한글은 표음문자(表音文字)로서의 우리 글이고요.
결국 둘 다 우리 글이라는거죠.
천부경을 설명하는 중에, 천부경과 유불선(儒佛仙)의 비교표가 있습니다.
이 표를 보고 종교에 대한 저의 가설을 확고히 다질 수 있어서 좋았어요.

천부경:도(道) 유 도(儒道) 불 도(佛道) 선 도(仙道)
길을 가는 법 홍익인간(弘益人間) 인(仁) 자비(慈悲) 권선징악(勸善懲惡)
길을 가는 이 성통(性通) 솔성(率性) 견성(見性) 명성(明性)
도착한 이 공완(功完) 성인(聖人) 부처(佛) 신선(神仙)
천부경과 유불선(儒佛仙)의 비교표

'길을 가는 법', '길을 가는 이', '도착한 이' 라는 명칭은 제가 편의상 붙인 것입니다.
이 표를 보면서 제가 가지고 있던 여러 종교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지울 수 있었습니다.
진리(眞理) = 도(道) = 신(神) 이라고 가정할 때, 결국 모두 같은 길을 추구하는 것이니까요.
도를 닦는다는것도 진리를 깨우치기 위함이고,
신을 믿는다는 것도 진리를 깨우치기 위함이라는 겁니다.
걸어가든, 뛰어가든, 자전거를 타고가든, 비행기를 타고가든.
주위를 둘러보며 가든, 앞만 보고 가든, 함께 가든, 혼자 가든.
결국 진리를 향해 가는 거죠.

천부경의 해설 다음엔 아주 짧게, 삼일신고(三一神誥) 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겨우 여덟 페이지 뿐이지만, 가르침은 아주 크게 다가왔어요.
삼일신고(三一神誥)는 총 다섯 장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앞의 세 장은 본래 한배검의 가르침이고,  뒤의 두 장은 앞의 세 장에 대한 풀이라고 합니다.
1장 천훈(天訓)에서는, 하늘이 어디에나 있고, 또한 아무것도 정의된 것이 없기에,
모든것을 포용할 수 있다는 가르침을 주고 있습니다.
2장 신훈(神訓)은 신에 대한 가르침입니다.
'저마다 지닌 본성에서 씨알을 구하라.' 라는 가르침이 와 닿았어요.
3장 천궁훈(天宮訓) 은 하늘궁전 혹은 천국, 천당에 이르는 방법에 대한 가르침입니다.
'자성(自性)을 통하고 모든 공적을 이룬 이.'가 갈 수 있다고 합니다.
깨달음을 얻어야 갈 수 있지,
남에게 의지하고 관광버스 타고 가듯 갈 순 없다는 가르침이죠.^^;
4장 세계훈(世界訓)은 그야말로 세계관에 대한 가르침입니다.
5장 진리훈(眞理訓)은 진리에 대한 가르침 입니다.
세가지 참함
성품(眞性) : 착함도 악함도 없다.- 상철(上哲 - 으뜸 밝은 이)
목숨(眞命) : 맑음도 흐림도 없다. - 중철(中哲 - 중간 밝은 이)
정기(眞精) : 두텁고 얇은 것이 없다. - 하철(下哲 - 아래 밝은이)

땅에 태어나면서 얻는 세가지 망령됨
마음(心) : 성품에 의지한 것으로 착함과 악함이 있다. 착하면 복 되고 악하면 화가 된다.
기운 (氣) :  목숨에 의지한 것으로 맑음과 흐림이 있다.맑으면 오래 살고, 흐리면 일찍 죽는다.
몸(身) : 정기에 의지한 것으로 두텁고 엷음이 있다. 후하면 귀하고, 박하면 천하게 된다.

참함과 망령됨이 서로 맞서 짓는 세 길 (이것이 굴러 다시 열여덟 경계(境界) 를 이룸)
느낌(感) : 기쁨, 두려움, 슬픔, 성냄, 탐냄, 싫음
숨쉼(息) :  향내, 술내, 추위, 더위, 마름, 축축함
부딪침(觸) : 소리, 빛깔, 냄새, 맛, 음탕, 닿음

뭇 사람들은 착하고 악함과 맑고 흐림과 두텁고 엷음을 서로 섞어서,
경계(境界)의 길을 따라 함부로 달리다가,
나고 자라고 늙고 병들고 죽는 괴로움에 떨어지고 만다.
밝은이는 느낌을 그치고,
숨쉬는 것을 고르게 하며,
부딪침을 금하여
한 뜻으로 되어 가서 망령됨을 돌이키니, 곧 참(眞) 이다.

선기옥형에 대한 부분은 슬쩍 봐도 머리가 아파서 그냥 지나쳤어요.^^;

제 2 부는 백두산족의 문화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천문지리, 의학, 체술, 정신수련법의 네편으로 나뉘어 있어요.
천문지리와 의학 부분은 건너뛰고 뒤의 두 편만 보았습니다.
체술 부분을 읽다가 택견에 대해 나온 부분을 보니, 반가웠어요.
조선 말엽에 서울 배화여고 자리인 필운대(筆雲臺),
가 서촌 한량의 택견도 총 본산이었다고 해요.
'문밖 택견'과 '문안 택견'의 두 종류가 있었는데,
문밖 택견은 휙 뛰면서 발을 차되 주로 상체를 차는데 실력이 왠만해서는  실수 하기가 쉽고,
문안 택견은 무릎 아래만 차는데 실수를 적게 하고 방어에 안전하다고 설명되었습니다.
문밖 택견은 높은 발질을 위주로 하는 택견 같고,
문안 택견은 낮은 발질 위주의 택견 같네요.
체술의 장에는 빨리 걷는 법에 대한 이야기도 있습니다.
축지법처럼 땅을 줄인다던가 하는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아니고,
걸음을 걷는 방법에 대해 나와있어요.
우리가 보통 걷는 방식은 신식 보법이라고 합니다.
신식 보법은 기관차식으로서,
정면을 향해 그대로 뛰어가되 양팔을 앞뒤로 흔들며,
양다리를 앞으로 높이 들어가며 뛴다고 설명되어 있어요.
우리의 재래식 보법은 항공식으로서 날짐승의 양날개로 비행하는 비법을 본받았다고 합니다.
정면을 향한 자세에서 15도 우측을 향해 서서, 왼쪽 발로 15도 왼쪽 방향으로 전진 시키고,
양손을 좌우쌍익형(左右雙翼形)으로 보좌하면서 행하는 것으로,
속력이 자연히 증강하여지고 호흡이 순조로워져서 인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재래식 보법을 꾸준히 연마하면, 걸음을 편안하고 빠르게 걸을 수 있다고 해요.

자 이제 드디어 이 책을 보게 된 이유인 정신수련법에 관한 편입니다.
   ↙●↖
  ↙ │  ↖
●─●→ ●
  ↘ ↑
   ↘●
이 그림은 오행연기법(五行鍊氣法)입니다.
단전에서 왼쪽의 좌협 으로 간 후,
좌협에서 단전 위쪽의 명문으로 갑니다.
그 다음 명문에서 오른쪽 아래인 우협으로 가고,
우협에서 단전 아래의 모제로 갑니다.
그리고 다시 단전으로 올라옵니다.

단학에 대해 알기쉽게 풀이한 연정 16법도 나와 있습니다.
연정 제 1법은 묵좌식상(默坐息想)으로 다른 생각없이 번뇌를 이겨내고,
괴로움을 참아내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는 하루 두시간씩은 하되,
총 정좌 시간 20일이면 충분하다고 설명 되어 있네요.
하루 두 시간씩 20일을 말하는 것인지, 시간으로 20일을 말 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시간으로 20일이면 480시간.
아침 저녁으로 한 시간씩, 두 시간을 수행한다고 했을때, 240일 이네요.
연정 제 2법은 자연호흡으로 코로 자연스럽고 천천히 들이쉬고 내쉬는 호흡을 하는 것입니다.
들이쉴 때는 가슴이 충만하도록 숨을 들이쉬어야 하는데,
불편할 정도로 들이쉬지 말고, 순탄한 호흡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하루 두시간 이상씩, 총 정좌 시간 30일.
1일=24시간을 말 하는 것이라면 720시간이 걸립니다.
연정 제 3법은 조식(調息)으로 길고 들이쉬고 내쉬는 시간을 균일하게 호흡하는 것입니다.
총 정좌시간 120시간 이상이 걸린다고 합니다.
연정 제 4법은 유기(留氣)로 단전에 호흡을 머무르게 하는 것입니다.
단전에 숨을 머무르게 한다고 억지로 힘을 주면 병이 날 수 있으니,
자연스럽게 숨 쉬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하루 4시간씩 1개월 수련을 하면 1호흡에 20초 전후에 도달한다고 합니다.
연정 제 5법은 단전에도 기운이 충만하게 들어서면 왼쪽 갈비뼈로 보내는 것입니다.
이 단계가 성공하면 비로서 호흡법에 입문 했다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루 네시간씩 2개월 이상이 소요 된다고 하네요.
연정 제 6법은 기운을 명문에 이르도록 하는 것입니다.
연정 제 7법은 기운을 오른쪽 갈비뼈에 이르게 하는 것입니다.
연정 제 8법은 기운을 모제로 밀어 내리는 것입니다.
여기까지가 오행 연기법입니다.
이후부터는 꾸준히 수련하면,
기를 아무 불편함 없이 원하는 곳으로 보낼 수 있게 됩니다.

이 책엔 방대한 내용이 담겨있지만, 저는 관심 있는 일부분만 읽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에겐 큰 도움이 되었죠.
언젠간 천부경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느낄 수 있게 되리라 믿습니다.
제 2부. 백두산 족의 문화 편은,
재미있는 옛날 예기들 덕분에 전래동화 읽는 기분도 들었어요.
제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 속에서,
이런 재미있는 부분을 찾아내는 즐거움이 있는 책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