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La Faim Dans Le Monde Expliquee a Mon Fils - Jean Zigler)
지구상에는 전 세계 인구의 두배를 먹여살릴 식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하는 기아에 대한 의문을 해소해 주는 스위스의 사회학자 장 지글러의 책 입니다.
숙명적인 가아가 지구의 과잉인구를 조절하는 확실한 수단이라는 자연도태라는 이론을,18세기 말 영국국교회 성직자였던 토머스 맬서스가 발표했 습니다.
사람들은 자연도태 이론을 통한 자기합리화로 끔찍한 사태를 외면하고 무관심하고 있어요.
'별 수 없지 뭐. 그들은 그렇게 태어난 걸. 자연 현상이야.'
라고 생각하며 말이죠.
우리나라의 2012년 최저 임금은 시급 4580원이라더군요.
하루에 여덟 시간씩 주 5일을 일하면 한 달에 73만 2천 800원을 벌 수 있습니다.
요즘 물가도 엄청난데, 그 돈으로 사람이 어떻게 사나 싶죠?
내가 얼마나 부유한지 통계를 내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수입을 700불이라 입력하니 중간보다 조금 못한 정도군요.
I'm the 3,771,428,572 richest person on earth! Discover how rich you are! >> |
그리고 이건..
월간 수입이 아닌 연간 수입 기준이에요.
우리나라는 아주 잘 사는 편에 속해서,
깨끗한 물을 마시지 못해 시력을 잃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오히려 비만이나, 고지혈증, 당뇨등으로 고생 하는 사람들이 더 많죠.
이런 병은 유전적인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잘 먹는 사람들에게 많이 생겨요.
못 먹어서 생기는 병이 아닌, 너무 많이 먹어서 생기는 병입니다.
지리적으로 우리와 아주 가까운 북한만 해도,
못 먹어서 굶어 죽는 사람이 많습니다.
왜 세계적으로 식량은 충분한데,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굶어 죽고 있을까요?
그리고 나는 그들을 위해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책을 보며, 기아에 대해 정리한 내용을 옮겨 봅니다.
by 月風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긴급 구호는 잘 훈련된 인력을 바탕으로 면밀한 계획에 따라 이루어 진다.
경제능력이 없는 가난한 사람들은 부자들이 버린 쓰레기로 목숨을 연명하고 있다.
전세계에서 수확되는 옥수수의 4분의 1은 부유한 나라의 소들이 먹고 있다.
금융자본가들이 시카고 곡물 거래소에서 식량의 가격을 좌지우지 하고 있다.
그들은 대량의 곡물을 방출해 가격을 무너뜨려 덤핑 효과를 내거나,
곡물을 사재기하여 인위적인 품귀현상을 불러 일으켜서 이윤의 극대화를 한다.
부유한 나라들은 식량을 대량으로 폐기처분하거나,
법률이나 그 밖의 조치를 통해 농산물의 생산을 크게 제한한다.
생산자들에게 최저 가격을 보장한다는 이유 때문이다.
사람들이 기아의 실태를 아는 것을 대단히 부끄럽게 여기고 있다.
스위스 네슬레는 소아과 출신의 칠레 대통령인 살바도르 아옌데의 분유 무상 배급 정책에 협조 하지 않았고,
미국의 중앙정보국(CIA)의 도움을 받은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장군의 군부 쿠데타로 아옌데는 살해 되었다.
191년에 막스베버는 "부란 일하는 사람들이 산출한 가치가 이어진 것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말은 오늘날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오늘날 부, 즉 경제력은 다혈질적인 투기꾼들이 벌이는 카지노 게임의 산물이다.
용어
- 경제적 기아 - 돌발적이고 급격한 일과성의 경제적 위기로 발생하는 기아 (가뭄,허리캐에인등 자연 재해,혹은 전쟁등)
구조적 기아 - 장기간에 걸쳐 식량공급이 지체되는 경우 (경제 발전이 더딘 데 따른 생산력 저조, 인프라 미정비, 주민 다수의 극도의 빈곤등)
유엔식량농업기구 - FAO :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http://www.fao.org 에서 보고서를 읽을 수 있다.)
세계식량계획(WFP : World Food Programme ) - 식량이 부족한 나라에서 활동한다. 지원국에서 자금을 지원 받아, 그 돈으로 부족한 나라의 이웃나라에서 남아도는 식량을 사들여 지원한다.
공식 부문 - 경제 주체로서 시민으로서의 정상적인 삶을 사는 사람들
비공식 부문 - 정해진 일자리나 거주지가 없고, 사회보장 자격이 없는 사람들. 즉 무산계급
- 기아의 원인 - 자연재해, 사막화, 삼림파괴, 정치 부패, 시장가격 조작, 전쟁, 국제기업의 횡포
기아에 대처하려면? (필요한 것들)
- 인도적 지원의 효율화
도움 줄 나라의 사회 구조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원조 식량이나 개발지원금을 지원하여 효과를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 원조 보다는 개혁이 먼저
모든 혁명의 목표는 희생자를 능동적으로 행동하는 자로,
역사의식을 가진 주체로 변화 시키는 것이다. - 인프라 정비
신자유주의의 장점과 단점
- 신자유주의를 말한다 [주경복(건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교수) ]
신 자유주의란 생산·가격·고용 등 경제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통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물가조절, 자원배분 등을 비롯한 대개의 경제 운영은 시장기능을 통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보는 관점. 정부의 개입보다는 민간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주시하는 논리이다.
장점
자본 활동의 제약을 최소화하여 자유롭게 시장 원리에 따라 이윤을 추구함으로써 투여한 자본을 통해 거둘 수 있는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부의 창출에 유리하다는 것이다.
시장의 적자생존 원래에 따라 모든 경제주체가 긴장하며 최선을 다해 목표를 이루려고 노력함으로써 기능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한 눈 팔지 않고 자신이 지닌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게 하여 능률을 높인다는 것이다.
'욕망하는 존재'로서 인간의 성취욕을 자극하여 일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인간적 본능이나 이기심을 자극하여 더 많이 이루고자 하는 에너지를 생성시킨다는 것이다.
단점
'자유'의 전제가 잘못되어 그 개념과 현실을 왜곡한다는 것이다. 모든 간섭을 없애고 자유를 줄 테니 알아서 마음껏 하라고 하지만 처음부터 가진 사람과 없는 사람의 할 수 있는 조건이 다른데 알아서 하라는 것은 불합리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쪽은 무장을 단단히 하고 나서는데 다른 쪽은 맨손으로 알아서 싸우라거나 헤비급 선수와 라이트급 선수를 구분 없이 섞어 놓고 알아서 싸우라고 한다면 그것은 자유가 아니라 괴롭힘이자 억압이 되어 버린다. 그런 뜻에서 신자유주의가 말하는 자유는 개인과 국가의 편차나 특수한 조건을 무시하며 인권, 생존권, 주권 등을 초월 하려는 개념이어서 진정한 의미의 인간적 또는 사회적 자유가 아니라는 개념적 비판을 받게 된다.
지나친 경쟁주의로 치달으며 약육강식의 냉혹한 질서가 자리잡아서 다수의 약자들이 소외되어버린다는 점이다. 모든 것을 시장으로 내몰며 자유롭게 빌어먹으라고 하므로 경쟁이 치열해질 수 밖에 없는데 경쟁의 조건이 처음부터 불공평하니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다시 말해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낳으며 양극화의 심화를 초래하는 것이다. 신자유 주의 또는 세계화를 20:80의 질서라고 표현하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20%의 혜택 받는 사람들을 위해 80%의 사람들을 소외시키고 희생시킨다는 이야기다. 결국, 신자유주의는 자본가들의 자유를 위한 이데올로기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자본의 욕망이 끝없이 확대되어 불필요한 영역들까지 시장으로 편입시킴으로써 인간의 모든 삶에서 물질만능 주의를 부추긴다는 점이다. 시장논리가 만병통치약처럼 통하다보니 문화, 교육, 예술 등 고유한 가치를 지니는 영역들도 시장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며 정책으로 옮기기 때문에 삶의 체계를 건조하게 만들며 인류문화를 황폐화시킨다.